티스토리 뷰


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청년도약계좌’. 하지만 아직도 “5년 동안 묶여야 하니까 못하겠어요”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2025년에 리뉴얼되면서 이런 걱정을 완전히 날려줄 만큼 좋아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새롭게 바뀐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혜택부터, 얼마나 넣어야 얼마를 모을 수 있는지, 가입 조건과 신청 방법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자유적금 상품입니다.
기본 금리 4.5%에 정부의 월 최대 33,000원 지원금 +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사실상 최대 연 9.54% 수익률의 초특급 적금입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이렇게 리뉴얼됐습니다!

1. 정부 지원금 확대
• 기존 최대 24,000원 → 33,000원으로 상향
• 연봉 구간별 추가 지원금까지 강화
2. 가입 유지기간 단축
• 기존 5년 유지 → 3년만 채워도 혜택 유지 가능
• 3년 유지 시 정부지원금 60% + 비과세 혜택 그대로 유지
3. 신용점수 가점 제공
• 2년 이상 성실납입 시 최대 10점 가점
• 별도 제출 없이 자동 반영
4. 부분 인출 허용
• 2년 유지 시 본인이 낸 금액의 40%까지 인출 가능
• 중도해지 없이 유연하게 자금 활용 가능


내가 얼마를 넣어야 목표 금액을 달성할까?


기준: 연봉 3천만 원 / 이자율 5.75% 가정

목표 금액 월 납입액 총 원금 총 이자 정부지원+이자 총 수령 예상금액
1,000만 원 15만 원 900만 원 약 131만 원 약 46만 원 약 1,077만 원
3,000만 원 42만 원 2,520만 원 약 368만 원 약 129만 원 약 3,017만 원
5,000만 원 70만 원 4,200만 원 약 614만 원 약 194만 원 약 5,008만 원

한 마디로 정리하면?
적금 이자만으로는 절대 달성할 수 없는 금액 차이, 정부지원 덕에 수백만 원 차이가 나는 구조입니다.


가입 조건은?

• 나이: 가입일 기준 만 19세~34세
• 소득:
• 근로소득자 →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 프리랜서 →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 금융소득: 최근 3개년 중 1회라도 종합과세 대상자 아니어야 함

초간단 자격 확인법
• 핀다(Finda) 앱 설치 →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 나이/소득 입력 → 바로 확인 가능


신청 방법은?


1. 신청 기간 확인
• 매달 초 (1~2주간) 신청 가능
2. 취급 은행 앱으로 신청
• 신한, 국민, 우리, 하나, 농협 등
3. 은행연합회 사이트에서 금리 비교 후 가장 유리한 은행 선택
4. 자격 검토 후 계좌 개설 (서민금융진흥원 통해 진행)


실제 후기에서 느낀 변화


“믿음이 안 갔는데 시작하고 1년 만에 인생 루틴이 바뀌었어요.”
청년도약계좌 하나로 ISA, 연금저축, 가계부, 주식까지 시작하게 된 찐짜리의 사례처럼, 시작이 정말 중요합니다. 2025년이 이 계좌의 황금기인 만큼 조건만 맞다면 무조건 신청하세요.


마무리하며


여러분, 목표 금액을 정하고 역산해보세요.
1천만 원, 3천만 원, 5천만 원… 이건 그냥 꿈이 아니라 계획 가능한 목표입니다.
월 15만 원, 42만 원, 70만 원의 차이가 5년 뒤 나의 경제적 여유를 바꿉니다.

이건 단순한 적금이 아닙니다. 정부가 주는 기회입니다.